그때의 선택이 통한의 순간이 될 줄 누가 알았을까. 아들 조준우 일병(당시 20세)은 2019년 1월 육군에 입대했고 같은 해 7월, 첫 휴가를 나온 다음 날 새벽 서울 관악구 자택 아파트에서 몸을 던져 숨졌다.
상상하기조차 힘든 고통을 겪은 엄마와 가족은 이후 의문에 휩싸였다. 사고 전날 아들은 예전보다 야위었지만, 아버지에게 “초콜릿을 사와 달라”고 하는 등 평소 같은 모습이었다. 입대 직후 치른 병무청 복무적합도 검사와 군생활적응 검사에서 모두 ‘양호’를 받았다. 국군지휘통신사령부 5정보통신단 본부로 배치돼 엄마와의 통화에서도 몇 번 ‘힘들다’ ‘잠이 안 온다’는 했지만, 걱정하는 엄마에게 “괜찮다”고 했었다.
━
믿을 수 없었던 군의 판정
조 일병의 죽음은 관할 부대인 수도방위사령부 헌병단(현 군사경찰단)과 보통검찰부가 조사했다. 군 복무 중 불면과 우울을 앓고 있었다는 판단이 나왔고, 군 사망자의 순직 여부를 결정하는 육군 보통전공사상심사위원회는 2019년 12월 조 일병의 죽음을 ‘일반사망’으로 판정했다. 직무 수행과 무관한 개인적 이유를 사망 원인으로 본 거였다. 결정서에는 ‘자유롭지 못한 군 환경’, ‘생활의 단조로움’, ‘연등(취침 시간 이후에도 불을 켜고 공부 등을 하는 것)’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사망 이유로 명시했다.
유족은 재수사를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직접 조사에 나섰다. 강씨는 2020년 7월부터 조씨와 같은 부대에서 근무한 선후임 병사들 5명을 찾아다니며 이야기를 듣고, 아들이 2018년부터 쓴 일기장 네 권을 전부 읽으며 아들의 군 생활을 재구성하기 시작했다. 민원과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아들이 복무할 당시의 부대 운영 상황도 살폈다.
━
유족 조사로 결과가 바뀌다
유족은 해당 부대 병사들이 과도한 당직 근무에 시달렸다는 사실을 파악했다. 한 달 평균 당직 근무 횟수만 4~5회로, 인근 대대(월 1.4회)에 비해 많았다. 부대 막내였던 조씨도 전입 후 약 3개월간 13차례 당직 근무를 섰고, 사망 한 달 전엔 3회 연속 당직 근무에 들어갔다. 또 유족은 부대 행정보급관이 병사들을 폭행·모욕한 등 혐의로 2020년 11월 징계처분을 받은 점도 알아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이에 국방부에 순직 여부 재심사를 권고했고, 국방부 중앙전공사상심사위는 이를 받아들여 2021년 8월 조 일병을 순직으로 결정했다. 이번엔 ‘군 복무 중 연속적인 당직 근무 임무 수행으로 인한 업무 과중과 스트레스 악화’와 ‘행정보급관의 비위행위로 인한 무언의 압력과 스트레스’가 인정됐다.
━
왜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가
그러나, 가족들의 궁금증과 한은 남아 있다. 왜 군의 초동 수사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왔는지, 담당 군 간부는 책임이 없는지 알고 싶었기 때문이다. 강씨는 “당직 근무 현황 자료는 당시 수사관에게 제출됐고, 행보관에 대한 병사들의 신고는 수사 기간에 이뤄졌다. 일기장엔 ‘한 선임 병사로 인해 불편하다’는 내용도 네 차례 나오는데 이에 대한 조사도 이뤄지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군 경찰이 사망 장병 유족에게 국선변호사를 선정할 수 있다고 고지해야 하는 규정도 안내받은 적이 없다는 게 유족 측 주장이다. 강씨는 “심리 부검도 요청했지만, 담당 수사관은 ‘그건 검사가 할 수 있다’며 거절했다”고 했다.
원칙 지킨 軍 앞에 엄마는 ‘악성 민원인’이 됐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육군 보통검찰부에서 재조사를 했고, 수사상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당시 수사 책임자 역시 기자와의 통화에서 “수사는 공정하게 이뤄졌다”고 했다. 그러나, 유족은 수사 담당자를 직무유기와 직권남용 혐의로 2020년 10월 고소했고 육군 검찰의 불기소 처분에 재정신청도 한 상태다.초등학교에서 23년간 교편을 잡았던 엄마는 이젠 국방부의 ‘악성 민원인’이 됐다. 서울 남현동 수방사 정문 앞에서 매일 1인 시위를 하고 있어서다. 아들의 죽음 후 머리가 하얗게 세고 눈에 띄게 마른 모습으로 변했다. 현재 우울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고 있다고 했다. 시장에서 장을 보다가도 아들이 좋아하던 미나리를 보면 눈물이 차오른다는 그는 “제게는 딸 같은 아들이었어요. 유일하게 내 마음을 알아주는...”이라고 다시 울먹였다.
강씨는 아직도 아들과 나눈 문자 대화를 가끔 들여다본다. 마지막 문자는 강씨가 아들에게 보낸 것이었다. “미안해. 네가 그렇게 힘든 줄 몰랐어. 내 욕심이 컸어. 내 과보(果報)야.” 답장은 오지 않았다.
이병준 기자 lee.byungjun1@joongang.co.kr
기사 바로가기 ↙
https://news.v.daum.net/v/20220607221544936